"중앙운영위원회 (학부 총학생회)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가기
검색하러 가기
중앙운영위원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. 대학원 총학생회 중앙운영위원회에 대해서는 KAIST 대학원 총학생회 중앙운영위원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.
중앙집행위원회에 대해서는 KAIST 학부 총학생회 중앙집행위원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.
잔글 |
잔글 |
||
5번째 줄: | 5번째 줄: | ||
== 구성과 임기 == | == 구성과 임기 == | ||
− | [[총학생회장단]]과 각 자치기구회장 혹은 회장단 중 [[전학대회]] 대의원 당연직인 사람 1인이 중앙운영위원이 된다.<ref group="학생회칙" name=":0" /> 2018년 중앙운영위원은 총 20명이다. | + | [[총학생회장단]]과 각 자치기구회장 혹은 회장단 중 [[전학대회]] 대의원 당연직인 사람 1인이 중앙운영위원이 된다.<ref group="학생회칙" name=":0" /> 2018년 중앙운영위원은 총 20명이다. [[총학생회장]]이 중앙운영위원회 의장을 맡는다. |
중앙운영위원의 임기는 전년도 말 정기 [[전학대회]] 폐회시점부터 후임 임기시작 전까지로 한다. 단, 새내기학생회는 예외로 자치규칙을 따른다.<ref group="학생회칙" name=":0" /> | 중앙운영위원의 임기는 전년도 말 정기 [[전학대회]] 폐회시점부터 후임 임기시작 전까지로 한다. 단, 새내기학생회는 예외로 자치규칙을 따른다.<ref group="학생회칙" name=":0" /> |
2018년 12월 9일 (일) 20:27 판
중앙운영위원회 (학부 총학생회) | |
---|---|
약칭 | 중운위 |
인원 | 20 |
기구장 | |
정 | 이한영(의장) |
부 | 신동욱 |
상급기구 | 전체학생대표자회의 |


KAIST 학부 총학생회 중앙운영위원회는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 권한을 위임받아 학생사회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의결이 이루어지는 기구이다. 매 달 1회 이상 정기회의를 개회함이 원칙이며, 이외에 요구에 따라 임시회의가 개최된다. 중앙운영위원회는 2018년 현재 20명으로 구성되며, 각 중운위원은 모두 총학생회, 각 학과·학부 학생회, 또는 동아리연합회의 대표이므로 4천학우를 대표하는 대의성을 지닌 가장 작은 의결기구가 된다.
지위
중앙운영위원회는 본회 제반사항의 신속하고 민주적인 결정을 위하여 전학대회가 일정 권한을 위임한 상설적인 의결기구이다.[학생회칙 1]
구성과 임기
총학생회장단과 각 자치기구회장 혹은 회장단 중 전학대회 대의원 당연직인 사람 1인이 중앙운영위원이 된다.[학생회칙 1] 2018년 중앙운영위원은 총 20명이다. 총학생회장이 중앙운영위원회 의장을 맡는다.
중앙운영위원의 임기는 전년도 말 정기 전학대회 폐회시점부터 후임 임기시작 전까지로 한다. 단, 새내기학생회는 예외로 자치규칙을 따른다.[학생회칙 1]
총학생회장 | 부총학생회장 |
물리학과 부학생회장 | 수리과학과 학생회장 |
화학과 학생회장 | 생명과학과 학생회장 |
기계공학과 학생회장 | 항공우주공학과 학생회장 |
전기및전자공학부 학생회장 | 전산학부 학생회장 |
건설및환경공학과 학생회장 | 바이오및뇌공학과 학생회장 |
산업디자인과 학생회장 | 산업및시스템공학과 학생회장 |
생명화학공학과 학생회장 | 신소재공학과 학생회장 |
원자력및양자공학과 학생회장 | 기술경영학과 학생회장 |
새내기학생회 학생회장 | 동아리연합회장 |
역할과 업무
소집 공고
결과 공고
KAIST 학부 총학생회 중앙운영위원회 결과 공고 분류가 없습니다
새로운 결과 공고 문서를 추가하려면 새 중앙운영위원회 결과 공고 만들기를 참조하세요.